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이야기(정부정책)

동물등록제 자진신고, 집중단속 총정리

by 리딩review 2025. 7. 14.
반응형

🐾 반려동물 유기 줄이기! 동물등록제 자진신고 및 집중단속 기간 안내

안녕하세요 😊 여러분의 반려생활 안내자, 놀부아빠입니다!

2025년 7월,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떠나는 여름휴가를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으시죠? 그런데 매년 휴가철이 되면 급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유기동물입니다.

특히 7~8월, 9~10월은 유기 동물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로, 반려인을 포함한 사회 전체의 책임 있는 행동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 왜 동물등록제가 중요한가요?

동물등록제는 201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무선식별장치(RFID)를 활용해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소유주 정보를 연계해 유실·유기를 방지하는 제도입니다.

  • 등록 대상: 생후 2개월 이상 (주택·준주택에서 기르는 경우)
  • 등록 방법: 동물병원 등 등록 대행기관 방문 → 내장형(마이크로칩) 또는 외장형(목걸이 인식표) 등록
  • 고양이: 내장형 방식만 가능 (외장형 훼손 우려 때문)

※ 등록 완료 시, 동물등록증과 고유 등록번호가 발급됩니다.


📆 2025년 등록 자진신고 및 단속 기간

구분 기간 내용
1차 자진신고 5월 1일 ~ 6월 30일 과태료 면제, 등록 권장
1차 집중단속 7월 1일 ~ 7월 31일 공원·산책로 등에서 리더기로 확인
2차 자진신고 9월 1일 ~ 10월 30일 추가 등록 기회 제공
2차 집중단속 11월 1일 ~ 11월 30일 전국 단위 집중 단속 실시

🚨 등록하지 않으면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등록 방법 안내

  1.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animal.go.kr)에서 가까운 등록 대행기관 조회
  2. 반려동물과 함께 동물병원 등 대행기관 방문
  3. 내장형 또는 외장형 등록 방식 선택 후 신청
  4. 등록 완료 후 동물등록증 수령 및 관리 시작

💡 고양이는 내장형 방식만 가능하며, 개는 둘 중 선택 가능합니다.


왜 등록해야 하나요?

  • 📌 유기 방지: 휴가철 유기 동물 발생 예방
  • 📌 신속한 인계: 반려동물 분실 시 빠른 주인 찾기
  • 📌 책임 있는 반려문화 조성

반려동물은 더 이상 '애완'이 아닌, 가족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이제는 반려동물도 '법적 등록'을 통해 책임 있게 보호해야 할 때입니다.


📎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바로가기


📢 마무리하며

여러분의 소중한 반려동물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 동물등록제에서 시작해 보세요! 이번 자진신고 및 집중단속 기간을 절대 놓치지 마시고요 😊

💬 여러분은 반려동물 등록을 하셨나요?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