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통합! 이제 하나의 앱으로 공공서비스 이용하세요
안녕하세요 😊
디지털 행정 소식을 전하는 정책친구 놀부아빠입니다!
여러분은 서울시 공공서비스 앱,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를 사용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동안 각각 따로 사용해야 해서 번거로웠던 분들 많으셨을 텐데요, 이제는 하나의 앱으로 통합되어 훨씬 더 편리해집니다!
🔍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통합 개요
서울시는 오는 10월,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를 하나로 합친 통합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합니다.
기존에는 복지 신청은 ‘서울지갑’에서, 공공시설 이용은 ‘서울시민카드’에서 각각 앱을 켜야 했지만, 이제는 하나의 통합 앱으로 모든 서비스를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통합을 넘어서 맞춤형 정보 제공, 간편 인증, 위·변조 방지까지 가능한 스마트 행정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답니다.
✅ 주요 서비스 요약
- 서울지갑 기능
-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 등 34종 증명서 실시간 발급
- 청년월세·청년수당·이사비 등 복지 자격 즉시 확인(27종)
- 다둥이카드, 임산부카드 등 모바일 카드 탑재
- 공인중개사 자격 확인 등 부동산 사기 예방 기능 탑재
- 서울시민카드 기능
- 도서관, 체육시설, 청소년센터 등 837개 공공시설 통합회원증
- 현재 34만 명 시민 이용
💡 새롭게 추가된 맞춤형 기능
- ‘나의서울+’ 서비스 도입: 이름·주민번호 입력만으로 생애주기별 맞춤 정보 제공
- 간편 가입: QR코드 스캔만으로 로그인·인증 완료
- 블록체인 기술로 위·변조 방지 강화
- 중복 메뉴 통합으로 관리비·본인인증 비용 절감 기대
📝 이용자 전환 방법
- 서울지갑 이용자: 간편번호 재설정만으로 이용 가능
- 서울시민카드 이용자: 12월 말 폐기 예정, 올해 안에 정보 이관 동의 필수
👉 기존 사용자라면 빠른 시일 내 통합 앱으로 전환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왜 중요한가요?
서울시의 이번 통합 앱은 단순한 기능 개선이 아닙니다.
디지털 소외 없는 시민 맞춤형 행정을 실현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공공서비스를 더욱 쉽게, 더 빠르게, 더 정확하게 이용할 수 있다면 시민들의 일상은 훨씬 스마트해지겠죠 😊
📌 요약
- 10월부터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통합 앱 출시
- 공공시설 이용, 복지 신청, 증명서 발급까지 한 앱에서 OK
- 기존 사용자 데이터 이관 절차 필수! (12월 전까지)
- QR 간편가입, 블록체인 보안, 생애주기 맞춤 정보 제공
디지털 서울, 이제 한 걸음 더 가까워졌습니다!
여러분은 이번 통합 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궁금한 점이나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나눠주세요!
반응형
'돈이 되는 이야기(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철 자원봉사·온기나눔 집중기간 (1) | 2025.07.08 |
---|---|
청년 문화예술패스 추가발급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5.07.07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방법 완벽정리 (1) | 2025.07.06 |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신청 총정리(소급적용) (1) | 2025.07.05 |
장기요양 등급 갱신 유효기간 연장 총정리 (1)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