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파트에도 생긴다고요?” 서울형 키즈카페, 단지 내로 확장 중!
안녕하세요 😊 육아와 지역 육성 소식을 전하는 정책친구 놀부아빠입니다.
“여보, 옆 단지 키즈카페 우리도 갈 수 있대!”
이런 말, 요즘 아파트 단지에서 자주 들리실 텐데요. 서울시가 공공형 키즈카페를 아파트 단지 안에 직접 설치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형 키즈카페 공동주택 확대사업’이 무엇인지, 누가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설치 조건과 사회적 의미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정책 개요: 서울형 키즈카페, 이젠 아파트 안으로
- 정책명: 공동주택 내 서울형 키즈카페 조성 사업
- 주관: 서울시 여성가족실
- 목적: 육아 인프라 확충 + 지역 놀이공간 공유 활성화
- 대상: 서울시내 공동주택 (입주민 동의 시)
서울시는 2025년 연내 서울형 키즈카페 200여 개소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존 공원·문화시설 외에도 공동주택 내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
🏡 설치 단지 현황 (2025년 7월 기준)
자치구 | 아파트 단지명 | 개관 시기 |
---|---|---|
동대문구 | 답십리 래미안위브 | 2025년 1월 |
은평구 | DMC아트포레자이 | 2025년 5월 |
은평구 | 녹번역 e편한세상캐슬 | 2025년 6월 |
송파구 | 포레나송파 | 2025년 7월 |
예정 | 북한산 현대힐스테이트 3차 | 2026년 3월 예정 |
답십리 래미안위브는 서울시 최초로 공동주택형 키즈카페를 개관한 사례이며, 회차당 어린이 2,000원 / 보호자 1,000원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및 운영 조건
- 입주민 50% 이상 동의 필요
- 지자체가 신청 → 서울시 선정
- 리모델링비 지원: ㎡당 200만 원
- 운영비: 직원 인건비(2인) + 월 최대 190만 원 운영비
- 우선예약: 이용정원의 20%까지 단지 입주민 자녀에게 보장
서울형 키즈카페는 대개 구립 시설로 민간 위탁 운영되며, 외부 어린이집과 단체 이용객도 받을 수 있도록 열려 있어요.
✨ 왜 중요한가요?
- 🏘 단지 내에서 바로 이용 가능한 키즈카페로 이동 시간, 비용 모두 절약
- 👩👧👦 육아공간이 부족한 다세대·빌라 밀집지역도 이용 가능
- 👥 놀이공간 공유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 🏗 유휴공간을 공공인프라로 전환하는 도시 효율화 모델
입주민 중심의 커뮤니티 공간이지만, 개방성을 유지하면서 지역 전체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된 점이 돋보입니다.
📌 마무리하며
서울형 키즈카페가 이제는 단지 안으로 들어오고 있어요. 우리 아이도 집 가까운 곳에서 편하게 뛰놀고, 부모도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건 큰 변화죠 😊
단지에 키즈카페를 유치하고 싶다면,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주민투표를 통해 의견을 모으고 자치구에 신청해 보세요!
여러분 단지에도 서울형 키즈카페가 들어오면 어떨 것 같으신가요? 댓글로 이야기 나눠주세요 💬
'돈이 되는 이야기(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배달앱, 2번만 주문해도 '1만 원 쿠폰' 지급 (3) | 2025.07.25 |
---|---|
이마트 바캉스 특가 총정리 (3) | 2025.07.23 |
반값 영화표 할인 지원, 발급 방법 (6) | 2025.07.23 |
휴·폐업 병원기록 온라인 열람·발급 총정리 (12) | 2025.07.22 |
휴대폰 구매 계약 시 지원금·위약금 체크리스트 (6) | 2025.07.22 |